top of page
  • Writer's pictureDelta One

델타원, 이노비즈협회 세미나에서 CMMC 인증제도 소개

델타원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이노비즈협회가 주관한 해외인증 세미나에 참석하여 미 국방부의 사이버보안성숙도모델인증(CMMC) 제도를 소개하고 미국 시장 진출에 관심있는 한국의 기업이라면 사이버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강구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혼합방식으로 진행된 이 세미나에 CMMC 인정기구의 전 의장 칼튼 존슨 들레인전략그룹 대표가 영상메시지를 보내어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델타원 대표는 CMMC 제도의 배경, 생태계, 모델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 기업들에게 적용가능한 분야를 제시했다. 뒤이어 진앤현에서는 CMMC 제도와 한국의 사이버보안 관련 규정을 비교하고, CMMC의 요건이 우리에게 익숙한 것들이지만 보안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시행이 쉽지는 않다는 점을 설명했다.


CMMC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피해를 입지 않도록 사이버 건강을 유지하여 민감한 정보와 자원, 사람과 조직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모든 기업이 사이버보안을 강화하여 귀중한 기술정보가 도난 당하거나 피해를 입지 않고 창성하길 바란다.


************************************************************************

이노비즈협회, 기술혁신기업 해외진출 지원…해외인증 세미나 개최

발행일 : 2022.06.28 14:07

중소벤처기업부와 이노비즈협회는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28일 서울 신라스테이 삼성에서 이노비즈기업 41개사가 참여한 가운데 '2022년 융복합기술교류촉진사업 수출기업 해외인증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세미나는 미국 정부의 사이버보안 강화로 인한 사이버보안 인증제도(CMMC) 인증요구 확대와 의료기기 해외기술규제 강화로 수출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국내 기업의 애로사항 해소를 위해 마련됐다. 델타원, C&I 글로벌l,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이 발표자로 나서 △미국 국방시장 진출을 위한 해외 인증 △의료 관련 수출 필수 해외 인증에 대해 강연했다. 세미나 이후에는 참가기업을 대상으로 별도 공간을 활용한 상담센터를 운영, 전문가와 컨설팅을 통한 일대일 현장 상담 지원도 했다. 김세종 이노비즈협회 상근부회장은 “앞으로도 다양한 산업분야의 기업 애로사항을 주목하고, 수출 경쟁력 강화와 신규시장 개척을 지속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

34 views0 comments

Recent Posts

See All

7월 12일, 국방부는 국방부 연구공학(USD/R&E)차관실에 3개의 새로운 차관보직과 함께 8개의 부차관보직을 신설한다고 발표했다. 1. 과학기술담당 차관보 ASD(S&T) DASD 과학기술재단 (S&T Foundations) DASD 과학기술미래 (S&T Futures) DASD 과학기술사업보호 (S&T Program Protection) 2. 핵심기술

미 국방부와 상무부는 미국 반도체 방산기반강화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MOA를 체결했다. 이 MOA 는 양 부처간 정보공유를 강화하여 CHIPS for America 장려프로그램 관련 긴밀한 공조를 촉진하고 국가안보와 방위에 필수적인 반도체칩 생산에 투자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MOA는 바이든 대통령의 미국 투자 어젠다의 핵심 부분인 초당적인 CHIPS 및

미 국방부가 드디어 연방정부의 민감한 정보를 보유한 방산업체들을 대상으로 사이버보안준수를 인증하겠다는 계획을 관리예산처(OMB)에 제출했다. 이로써 CMMC 프로그램에 대한 규칙제정 프로세스가 공식 착수되었다. OMB 산하 OIRA는 미 연방정부의 모든 규정을 검토하고 정부의 정보 수집을 승인하며 연방 개인정보보호정책을 수립하는 조직이다. OIRA는 90일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