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Writer's pictureDelta One

미 백악관, 극초음속, 지향성에너지를 중요신기술(CET)에 추가

Updated: Apr 1

미백악관은 중요신기술(critical and emerging technologies (CETs)) 목록에 다섯 가지 신기술을 추가했다. CET는 잠재적으로 미국 국가안보에 중요한 첨단 기술의 일부이다. 중요신기술 목록 자체가 전략은 아니지만 국가 기술 경쟁력과 국가안보에 관한 전략을 수립할 때 기반이 된다. 각 기술 영역별로 핵심기술이 식별되어 있다.


긴요한 신기술을 식별하고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국가안보 관련 부처에 제공하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하 중요신기술 신속조치 소위원회(Fast Track Action Subcommittee on Critical and Emerging Technologies)가 미국의 국가안보에 특히 중요하다고 식별한 중요신기술 최신 목록은 다음과 같다:

  1. 첨단컴퓨팅 Advanced Computing

  2. 첨단공학소재 Advanced Engineering Materials

  3. 첨단가스터빈엔진기술 Advanced Gas Turbine Engine Technologies

  4. 첨단제조 Advanced Manufacturing

  5. 첨단 및 네트워크화한 센싱 및 시그니처 관리 Advanced and Networked Sensing and Signature Management

  6. 첨단원자력기술 Advanced Nuclear Energy Technologies (추가)

  7.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8. 자율시스템 및 로봇공학 Autonomous Systems and Robotics •

  9. 바이오기술 Biotechnologies

  10. 통신 및 네트워킹 기술 •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Technologies

  11. 지향성 에너지 Directed Energy (추가) - 레이저기술 등

  12. 재무기술 Financial Technologies (추가)

  13.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Human-Machine Interfaces

  14. 극초음속 Hypersonics (추가) - 추진기술, 기체역학 등중

  15. 네트워크화한 센서 및 센싱 기술 Networked Sensors and Sensing

  16. 양자정보기술 Quantum Information Technologies

  17. 재생 에너지 생성 및 저장 기술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추가)

  18. 반도체 및 초소형전자 기술 Semiconductors and Microelectronics

  19. 우주 기술 및 시스템 Space Technologies and Systems


이들 기술은 한국 국방부에서 발간한 2019-2033 국방과학기술진흥정책서에 소개된 국방전략기술 8대 분야 가운데 [미래형 첨단 신기술 분야]에 대부분 포함되어 있는 기술들이다.

  1. 국방 양자정보 기술

  2. 신재생 에너지 기술

  3. 지향성 에너지 방어 기술

  4. 합성 생물학 기술

  5. 고에너지 레이저 기술

  6. 전자력 추진 기술

  7. 지향성 음파발생 기술

  8. 고출력 전자파 기술

미 국방부의 CET 목록의 일부 기술 영역은 한국이 경쟁력을 가진 분야도 있는 만큼, 한미간 동등한 산업협력의 가능성과 잠재력이 풍부한 영역이라 아니할 수 없다.


#중요신기술 #CriticalEmergingTechnologies(CET)

34 views0 comments

Recent Posts

See All

7월 12일, 국방부는 국방부 연구공학(USD/R&E)차관실에 3개의 새로운 차관보직과 함께 8개의 부차관보직을 신설한다고 발표했다. 1. 과학기술담당 차관보 ASD(S&T) DASD 과학기술재단 (S&T Foundations) DASD 과학기술미래 (S&T Futures) DASD 과학기술사업보호 (S&T Program Protection) 2. 핵심기술

미 국방부와 상무부는 미국 반도체 방산기반강화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MOA를 체결했다. 이 MOA 는 양 부처간 정보공유를 강화하여 CHIPS for America 장려프로그램 관련 긴밀한 공조를 촉진하고 국가안보와 방위에 필수적인 반도체칩 생산에 투자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MOA는 바이든 대통령의 미국 투자 어젠다의 핵심 부분인 초당적인 CHIPS 및

미 국방부가 드디어 연방정부의 민감한 정보를 보유한 방산업체들을 대상으로 사이버보안준수를 인증하겠다는 계획을 관리예산처(OMB)에 제출했다. 이로써 CMMC 프로그램에 대한 규칙제정 프로세스가 공식 착수되었다. OMB 산하 OIRA는 미 연방정부의 모든 규정을 검토하고 정부의 정보 수집을 승인하며 연방 개인정보보호정책을 수립하는 조직이다. OIRA는 90일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