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Writer's pictureDelta One

미 국방부 국방기술개발 기능 강화, 3개 차관보(ASD)직 신설


7월 12일, 국방부는 국방부 연구공학(USD/R&E)차관실에 3개의 새로운 차관보직과 함께 8개의 부차관보직을 신설한다고 발표했다.


1. 과학기술담당 차관보 ASD(S&T)

  • DASD 과학기술재단 (S&T Foundations)

  • DASD 과학기술미래 (S&T Futures)

  • DASD 과학기술사업보호 (S&T Program Protection)

2. 핵심기술담당 차관보 ASD(CT)

  • DASD 응용기술 (Applied Technology)

  • DASD 활성화기술 (Enabling Technology)

3. 임무능력담당 차관보 ASD(MC)

  • DASD 다중영역합동작전 (Multi-domain Joint Operations)

  • DASD 프로토타입 및 실험 (Prototypes & Experiments)

  • DASD 임무 통합 (Mission Integration)

출처: https://www.defense.gov/News/Releases/Release/Article/3468101/dod-establishes-assistant-secretaries-of-defense-in-the-office-of-the-under-sec/


그동안 연구개발공학은 국방획득기술군수로 통합되어 획득의 한 단계로서 인식되었었으나, 미 국방부 조직간 소통 단절 등의 이유로 국방부가 첨단 상용기술을 제대로 군에 적용하지 못하고 뒤처지고 있다는 인식이 커짐에 따라 2016년 획득차관실에서 별도의 차관실로 분리되어 나왔었다. 연구공학차관 산하에 과학기술 차관보, 핵심기술 차관보, 임무능력 차관보직을 신설한 것은 미 국방 기술 개발과 첨단 상용 기술 응용을 촉진함으로써 미군의 기술적 우위를 유지하려는 의지로 해석된다.


임무능력담당 차관보실 산하 프로토타입 및 실험 부차관보는 해외우수기술비교시험프로그램인 FCT 와 RDER 사업을 담당하고 있어 그 기능의 확대가 주목된다.

13 views0 comments

Recent Posts

See All

미 국방부와 상무부는 미국 반도체 방산기반강화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MOA를 체결했다. 이 MOA 는 양 부처간 정보공유를 강화하여 CHIPS for America 장려프로그램 관련 긴밀한 공조를 촉진하고 국가안보와 방위에 필수적인 반도체칩 생산에 투자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MOA는 바이든 대통령의 미국 투자 어젠다의 핵심 부분인 초당적인 CHIPS 및

미 국방부가 드디어 연방정부의 민감한 정보를 보유한 방산업체들을 대상으로 사이버보안준수를 인증하겠다는 계획을 관리예산처(OMB)에 제출했다. 이로써 CMMC 프로그램에 대한 규칙제정 프로세스가 공식 착수되었다. OMB 산하 OIRA는 미 연방정부의 모든 규정을 검토하고 정부의 정보 수집을 승인하며 연방 개인정보보호정책을 수립하는 조직이다. OIRA는 90일

bottom of page